김진호의 세계읽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세계읽기
  • 한반도, 오늘
  • 분류 전체보기 N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N
      • 2024년 한반도 위기
      • 우크라이나 전쟁
      • 정전 70년
      • 방송영상+액자기사
      • 2024 미국 대선
    • 나눔의 국제정치학
    • 내고향, 서울...
    • 한반도, 오늘
    • 세계 읽기
      • 인사이드 월드
      • 글로발, 발로글
      • 좋은 미국, 나쁜 미국
    • 포퓰리즘 산책
    • 칼럼
      • 한반도 칼럼
      • 경향의 눈
      • 여적
      • 아침을 열며
      • 워싱턴리포트
      • 정동탑
      • 기자메모
      • 破邪顯正
    • 떨어진 반쪽
      • 방북기
      • 고향을 떠난 사람들
    • Interviewees N
    • 몇가지 주제들
      • 연설문
    •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 자료 N
      • 한반도 자료 N
      • 일반자료

검색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1호 영업사원'에서 '위안스카이'까지, 기묘한 '남북 커플링'

    2023.06.16 by gino's

  • 중국 글로벌안보구상(GSI) concept paper

    2023.06.15 by gino's

  • 북한 핵문제, '출구가 없다'(No Exit)

    2023.06.15 by gino's

  • [우크라이나]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왜 한국산 포탄 사진을 올렸을까

    2023.06.15 by gino's

  • 정부 철학에 맹종하라? 외교안보 사령탑의 오만

    2023.06.15 by gino's

  • Directory of 300 hate symbols a new tool for identifying extremism(GAPHE) 증오&혐오의 상징 감별 기준 300

    2023.06.14 by gino's

  •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발표 문건(2017~)

    2023.06.12 by gino's

  • 크림대교 이어 노르트스트림 폭파 배후도 우크라이나?

    2023.06.11 by gino's

'1호 영업사원'에서 '위안스카이'까지, 기묘한 '남북 커플링'

"싱하이밍 대사를 보면 위안스카이가 떠오른다는 말도 있다. (윤석열 대통령?)" "내가 지금 중국 외교부장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청나라 사절 이홍장과 회담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강석주 북한 외무성 제1부상)" 역사의식의 발현일까, 반전의 묘수일까. 싱하이밍 주한 중국 대사의 발언을 둘러싼 한·중 간 갈등은 단순한 논란이 아니다. '정부·여당 대 야당'의 대립 구도가 맞물렸고, 한·중 관계는 물론, 한·미, 미·중 관계의 갈등 요소가 겹쳐 있다. 남북 관계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다만 윤석열 정부 들어 남북의 용어가 '동조화(coupling)'하는 기현상이 거듭 눈에 띈다. 먼저 윤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 13일 국무회의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싱 대사의 발언..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6. 16. 17:43

중국 글로벌안보구상(GSI) concept paper

The Global Security Initiative Concept Paper 2023-02-21 11:12 I.Background The issue of security bears on the well-being of people of all countries, the lofty cause of world peace and development, and the future of humanity. Today, our world, our times and history are changing in ways like never befor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nfronted with multiple risks and challenges rarely seen ..

자료/일반자료 2023. 6. 15. 18:44

북한 핵문제, '출구가 없다'(No Exit)

No Exit, 출구가 없다 조나단 폴락 | 아산정책연구원 2013.11.08 21:37 “도대체, 왜, 어떻게 이 지경에 이르게 됐나. 또 그 결과는 무엇인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는 측의 정치적 의지와 외교적 상상력의 부재 탓인가?”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 조나단 폴락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에서 던지는 질문이다.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한 자문자답이다. 미국에서 펴낸 지 1년 만인 지난해 우리말로 번역됐다. 1990년대 초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계기로 수면 위로 올라온 북한 핵문제는 정전협정 60주년이 지나도록 한반도 문제의 핵심으로 자리하고 있다. 지난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악화일로를 걷던 한반도의 안보위기는 수그러들고 있다.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 사무특..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2023. 6. 15. 11:18

[우크라이나]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왜 한국산 포탄 사진을 올렸을까

"남조선은 우크라이나의 직접적인 무기 납입으로 하여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하여 온갖 궁리를 다 해내고 있다. 저들의 땅크(탱크)를 뽈스카(폴란드)에 넘겨 뽈스까가 낡은 쏘련제 장비들을 우크라이나 당국에 넘기도록 하고, 미국의 주문에 따라 종당에는 우크라이나에서 쓰일 탄약들을 생산하기도 한다. 남조선이 무엇을(어떤 우회적 지원 방안을) 고안해내든 그들의 무기가 여하튼 로씨아인들 즉 병사들과 평화적 주민들을 살해하는 데 쓰이고 있다." 국제 이슈와 한반도 분단 구조가 겹치면 시야가 더 복잡해진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그렇다. 북한은 탈냉전 이후 미국과 서방이 지원 또는 주도하는 전쟁에 일관되게 반대 입장을 보여왔다. 보스니아전쟁의 경우 세르비아를 지지했고, 걸프전과 미국의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침공을 비난해왔다...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우크라이나 전쟁 2023. 6. 15. 09:57

정부 철학에 맹종하라? 외교안보 사령탑의 오만

"무고한 사람들의 삶을 담보로 하는 현재의 취약한 평화가 진짜 평화라고 믿으며, 스스로를 속이고 진실을 회피하는 것은 윤석열 정부의 외교안보 철학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다. 자유와 연대가 우리 외교안보의 방향성이다." 정견과 전략의 혼란 안보마저 정치에 오염된 것일까. 직업 외교관 출신 조태용 국가안보실장(66)이 지난 9일 공개석상에서 내놓은 말이다. 윤석열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외교·안보·통일 분야 평가와 과제'라는 주제로 4개 국책연구기관의 공동학술회의가 열린 서울 종로구 포시즌 호텔에서다. 조 실장이 맡은 것은 기조연설. 마침 그 이틀 전 윤석열 정부 국가안보전략 보고서가 발표됐기에 국내외 주목을 받은 행사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물론, 주한 외교사절도 상당수 참석했다. 그는 미·중 전략경쟁과..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6. 15. 09:54

Directory of 300 hate symbols a new tool for identifying extremism(GAPHE) 증오&혐오의 상징 감별 기준 300

https://globalextremism.org/ Global Action. Global Solutions. Strengthening a diverse global community committed to exposing and countering racism, bigotry, and prejudice. globalextremism.org https://www.militarytimes.com/flashpoints/extremism-disinformation/2023/06/13/directory-of-300-hate-symbols-a-new-tool-for-identifying-extremism/ FAQs: Far-right hate and extremist groups Directory of 300 h..

자료/일반자료 2023. 6. 14. 14:59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발표 문건(2017~)

EDSCG 3차 회의 공동성(220916) 한미 확장억제전략협의체 회의 공동성명 지난 5월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과 조셉 R. 바이든 미합중국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한미 외교·국방 당국은 2022년 9월 16일 워싱턴 D.C.에서 차관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회의를 개최하였다. 대한민국 대표단은 조현동 외교부 1차관과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미국 대표단은 보니 젠킨스 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차관과 콜린 칼 국방부 정책차관이 각각 이끌었다. EDSCG는 한반도 상 동맹의 억제력과 인도-태평양 지역 내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전략적 사안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협의체로서, 이번이 세 번째 고위급 회의다.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안보 공약 강화, 북한의 공세적 행위에 대..

자료/한반도 자료 2023. 6. 12. 18:15

크림대교 이어 노르트스트림 폭파 배후도 우크라이나?

지난해 9월 26일 발트해에서 발생한 노르트스트림1·2에 대한 테러 공격의 배후에 우크라이나가 있다는 분석이 잇달아 제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가 이를 시인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미국을 포함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회원국들도 '적전 분열'을 우려해 언급을 피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가즈프롬과 유럽 기업들이 컨소시엄 형식으로 소유한 파이프라인의 파괴와 이로 인한 에너지 가격 폭등으로 유럽 각국이 피해를 입은 만큼 파괴 주체에 관한 조사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선 비용만 수억 달러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스웨덴 당국은 사건 발생 직후 노르트스트림1·2 가스관 4개 중 3개에서 가스가 누출된 것은 의도적인 폭파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가스관 2개는 공해상이지만 스웨덴과 덴마크의 배타적 경..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우크라이나 전쟁 2023. 6. 11. 14:4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210
다음
TISTORY
김진호의 세계읽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