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호의 세계읽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세계읽기
  • 한반도, 오늘
  • 분류 전체보기 N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 2024년 한반도 위기
      • 우크라이나 전쟁
      • 정전 70년
      • 방송영상+액자기사
      • 2024 미국 대선
    • 나눔의 국제정치학
    • 내고향, 서울...
    • 한반도, 오늘
    • 세계 읽기
      • 인사이드 월드
      • 글로발, 발로글
      • 좋은 미국, 나쁜 미국
    • 포퓰리즘 산책
    • 칼럼
      • 한반도 칼럼
      • 경향의 눈
      • 여적
      • 아침을 열며
      • 워싱턴리포트
      • 정동탑
      • 기자메모
      • 破邪顯正
    • 떨어진 반쪽
      • 방북기
      • 고향을 떠난 사람들
    • Interviewees
    • 몇가지 주제들
      • 연설문
    •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 자료 N
      • 한반도 자료 N
      • 일반자료

검색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하미학살 55주년, 덩그러니 남은 '팜티호아의 목발'

    2023.05.18 by gino's

  • "남아공, 러시아 무기 수출. 이 말에 목숨을 건다" 미국 대사의 오만

    2023.05.18 by gino's

  • 나 아니면 안된다? 재선 선언 바이든의 의욕 또는 노욕

    2023.05.18 by gino's

  • 튀르키예 대선에 세계가 주목하는 까닭

    2023.05.13 by gino's

  • 윤석열 미 의회 연설(20230427)

    2023.05.05 by gino's

  • 한미 정상회담+워싱턴 선언+공동기자회견문(20230426)

    2023.05.05 by gino's

  • 한미정상회담백악관 Fact Sheet+국빈만찬 초청명단(20230426-27)

    2023.05.05 by gino's

  • 주한 러시아 대사 "무기 공급 가능성을 제기한 것 자체가 비우호 입장"

    2023.04.22 by gino's

하미학살 55주년, 덩그러니 남은 '팜티호아의 목발'

시민사회네트워크, 진실화해위원회의 진상규명 착수 촉구 1968년 2월 24일, 베트남 중부 꽝남성 하미 마을. 마흔 살의 팜티호아는 느닷없이 날아온 한국군의 수류탄에 두 발목을 잃었다. 아픔을 느낄 새도 없었다. 다섯 살배기 딸과 열 살짜리 아들을 잃었다. 불행은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한집에 살던 사촌 올케와 배 속의 태아, 젖먹이 아기, 막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도 총질에 스러졌다. 사촌 올케는 죽임을 당하기 전 강간을 당했다. 큰아들 응우옌럽은 마을을 떠나 있었기에 살아남았다. 천우신조였다. 하지만 종전 1년 뒤 큰아들마저 농사일을 하던 중 불발탄이 폭발해 두 눈의 시력을 잃었다. 공교롭게 한국군이 주둔했던 땅이었다. 남편은 이미 불귀의 객이 돼 있었다. 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미 마을은 한국..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5. 18. 14:07

"남아공, 러시아 무기 수출. 이 말에 목숨을 건다" 미국 대사의 오만

"우리는 러시아 선박에 (남아공의) 무기와 탄약이 적재되고 있다고 확신한다. 본질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주장에 내 목숨을 걸겠다." 루벤 브리지티 남아공 주재 미국 대사(49)가 기자회견을 자청해 이같이 주장한 것은 지난 11일이었다. 미국은 남아공 케이프타운의 해군기지에 지난해 12월 사흘 동안 정박했던 러시아 선박 레이디R 호를 주시해왔다. 남아공이 비록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중립을 표방했지만 은밀하게 무기·탄약 지원을 하고 있다는 의심에서다. 그사이 어떤 정보를 취득했는지 브리지티 대사는 언론에 미국은 러시아 선박이 무기·탄약을 실었다고 믿을 이유가 있다고 단언했다. 남아공 '뉴스룸 아프리카'가 전한 브리지티 대사의 발언 내용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뒤 피아를 확실하게 구분해온 미국은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5. 18. 14:03

나 아니면 안된다? 재선 선언 바이든의 의욕 또는 노욕

"바이든은 지난 2년 동안 위대한 대통령이었다. 공약의 많은 부분을 성취했다. 자축할 만하다. 그러나 재선에는 나서지 말아야 한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미셸 골드버그의 충고였다. 뉴욕타임스는 하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80)의 올해 국정연설 전날이던 지난 2월 6일 지면에 '그만하라'는 칼럼을 배치했다. 골드버그의 충고는 바이든 대통령의 고령을 우려하는 미국 내 많은 목소리를 대변한다.지난 대선 유세 때부터 '졸린 조(Sleepy Joe)'라며 바이든의 고령을 한껏 비웃던 도널드 트럼프류의 야유가 아니었다. 바이든이 대중 앞에서 할 말을 잊고 머뭇거리거나, 전용기 계단을 오르며 서너 번을 연거푸 넘어지고, 경호원의 안내에도 갈 길을 못 찾아 헤매는 모습을 본 평범한 미국민들의 불안을 담은 목소리였다..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2024 미국 대선 2023. 5. 18. 13:59

튀르키예 대선에 세계가 주목하는 까닭

레젭 타이프 에르도안(69) 튀르키예 대통령이 오는 14일 대선에서 3선에 도전한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집권 정의개발당(AKP)과 몇몇 우파정당들의 선거연합인 '인민동맹' 후보로 나선다. 모두 4명의 후보가 나왔지만, 6개 야당간 선거연합인 '국가동맹'의 케말 클르츠다로을루 공화인민당(CHP) 대표(74)가 에르도안과 함께 각종 여론조사에서 40%대 지지를 받으면서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에르도안 정부가 언론을 장악한 상황에서 클르츠다로을루 후보가 약진하는 것은 지난 2월 발생한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이후 반정부 정서가 강해진 것과 궤를 같이한다. 튀르키예에서만 5만 783명이 사망했다. 에르도안의 20년 장기 집권에 따른 부패와 무능이 겹친 데다가 건축허가를 부실로 내어준 탓에 피해가 컸기 때..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5. 13. 13:41

윤석열 미 의회 연설(20230427)

https://www.congress.gov/118/crec/2023/04/27/169/71/CREC-2023-04-27-pt1-PgH2053-7.pdf From the Congressional Record Online through the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www.gpo.gov] {time} 1044 JOINT MEETING TO HEAR AN ADDRESS BY HIS EXCELLENCY YOON SUK YEOL,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recess, the House was called to order by the Speaker at 10 o'clock and 44 minutes a.m. The Assis..

자료/한반도 자료 2023. 5. 5. 17:10

한미 정상회담+워싱턴 선언+공동기자회견문(20230426)

APRIL 26, 2023Washington DeclarationPresident Joseph R. Bide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President Yoon Suk 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met on this 26th day of April, 2023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S.-ROK Alliance. The Alliance between our two nations has been forged in shared sacrifice, fortified by enduring security cooperation, and nourished by our close kinship t..

자료/한반도 자료 2023. 5. 5. 16:26

한미정상회담백악관 Fact Sheet+국빈만찬 초청명단(20230426-27)

APRIL 26, 2023 FACT SHEET: Republic of Korea State Visit to the United States President Biden of the United States welcomed President Yoon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on April 26, 2023, for a State Visit to commemorate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S.-ROK Alliance. The two presidents reaffirmed their ironclad commitment to what has become a global alliance focused on deepening defense and sec..

자료/한반도 자료 2023. 5. 5. 16:12

주한 러시아 대사 "무기 공급 가능성을 제기한 것 자체가 비우호 입장"

"한국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러시아에 이미 넘치게 비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무기 공급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기존) 비우호적인 입장의 반영이라고 본다." "한국은 이미 넘치게 비우호적 입장 보여 왔다" 안드레이 보리소비치 쿨릭 주한 러시아 대사(69)는 지난 21일 와의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9일 자 로이터 통신 인터뷰에서 '조건부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입장을 전했다.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이 20일 공표한 공식입장을 거듭 확인하면서 안타까움을 숨기지 않았다. 인터뷰는 21일 서울 중구 정동 주한 러시아 대사관에서 1시간가량 진행됐다. 쿨릭 대사는 지난 19일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

Interviewees 2023. 4. 22. 23:1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211
다음
TISTORY
김진호의 세계읽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