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호의 세계읽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세계읽기
  • 한반도, 오늘
  • 분류 전체보기 N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N
      • 2024년 한반도 위기
      • 우크라이나 전쟁
      • 정전 70년
      • 방송영상+액자기사
      • 2024 미국 대선
    • 나눔의 국제정치학
    • 내고향, 서울...
    • 한반도, 오늘
    • 세계 읽기
      • 인사이드 월드
      • 글로발, 발로글
      • 좋은 미국, 나쁜 미국
    • 포퓰리즘 산책
    • 칼럼
      • 한반도 칼럼
      • 경향의 눈
      • 여적
      • 아침을 열며
      • 워싱턴리포트
      • 정동탑
      • 기자메모
      • 破邪顯正
    • 떨어진 반쪽
      • 방북기
      • 고향을 떠난 사람들
    • Interviewees
    • 몇가지 주제들
      • 연설문
    •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 자료
      • 한반도 자료
      • 일반자료

검색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남아공 브릭스 정상회의(0824) the Johannesburg II Declaration

    2023.08.25 by gino's

  • Camp David 대통령실 발표 자료

    2023.08.21 by gino's

  • 캠프 데이비드, 왜 하필 '8·18 도끼만행' 사건일이었나

    2023.08.20 by gino's

  • 캠프 데이비드, 유사시 한-일 안보협의는 "의무 아닌 약속"

    2023.08.20 by gino's

  • 바이든 앞에서 협력 다짐한 한-일 '캠프 데이비드 맹세'

    2023.08.20 by gino's

  • Camp David 백악관 발표 문건(20030818)

    2023.08.19 by gino's

  • 역사적 장소? 오래전 빛 바랜 캠프 데이비드의 '허명'

    2023.08.17 by gino's

  • 바이든, 캠프 데이비드서 '한-일 준군사동맹' 설계

    2023.08.15 by gino's

남아공 브릭스 정상회의(0824) the Johannesburg II Declaration

BRICS CHAIR President Cyril Ramaphosa’s Media Briefing Remarks Announcing the Outcomes of the XV BRICS Summit. 24 August 2023 Excellencies, Members of the Media, Good Afternoon, We successfully concluded the 15th BRICS Summit yesterday. It is the first BRICS Summit to be hosted in-person since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subsequent global travel restrictions. Leading up to the Summit, there wa..

자료/일반자료 2023. 8. 25. 10:39

Camp David 대통령실 발표 자료

8/21(월) 을지 및 제35회 국무회의 국무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오늘부터 나흘간 을지연습이 시작됩니다. 을지연습은 전쟁 발발 시 정부 기능 유지, 군사 작전 지원, 국민 생활 안정을 위한 국가 총력전 수행 연습으로서 국가 비상 대비태세를 확립하기 위한 것입니다. 오늘날의 전쟁은 가짜뉴스를 활용한 여론전과 심리전, 테러를 동반한 비정규전, 인터넷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 핵 위협을 병행한 정규전 등 모든 전쟁을 혼합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민, 관, 군이 함께 국가 총력전 수행 역량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부는 지난 정부에서 축소 시행되어 온 을지연습을 작년에 정상화하였고, 올해는 전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민, 관, 군 통합 연습으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중앙..

자료/한반도 자료 2023. 8. 21. 13:58

캠프 데이비드, 왜 하필 '8·18 도끼만행' 사건일이었나

​ ​한미일 정상은 18일 미국 매릴랜드주의 대통령 주말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첫 단독 3자 정상회의에서 장소의 역사성을 한껏 강조했다. 한반도 거주민의 관점에서 생뚱맞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는 의미 부여였다. 장소와 날짜가 주는 역사성이 먼저 다가온다. '허명'에 기댄 장소효과 노림수 먼저 별장 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정상회의를 마친 뒤 "역사적인 장소에서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다"라면서 한미일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선언했다. 이어 대통령으로서 캠프 데이비드에서 주최한 첫 정상회의였음을 강조하면서 "다음 시대의 협력을 시작하기에 더 적합한 장소를 생각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곳은 새로운 시작과 새로운 가능성의 힘을 오랫동안 상징해온 장소"라고 정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캠프 데이비드..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8. 20. 11:43

캠프 데이비드, 유사시 한-일 안보협의는 "의무 아닌 약속"

18일 한미일 정상의 캠프 데이비드 회의는 새로운 합의 도출을 위한 회의가 아니었다. 윤석열 정부와 기시다 후미오 내각이 조성한 한·일 협력 분위기를 제도화, 영속화하는 데 방점이 놓인 회의였다. 이미 한미동맹과 미일동맹 차원에서 군사와 경제, 글로벌 사우스(제3세계) 지원 등 모든 분야에서 진행되어온 협력을 한미일 3자 단계에서 확인하려는 것이 회의 주최국인 미국의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취임) 아주 초기부터 3국을 한 자리에 모으겠다는 개인적 의지는 진심이었다"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한마디가 바로 별도의 3국 정상회의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설명해준다. 핵심은 '상징적 공간'의 연출이었던 셈이다. 마침 바이든은 내년 11월 대선을 앞두고 유세활동에 한창이다. 3국 정상이 이날 '캠프 데이비드 정신(S..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8. 20. 11:35

바이든 앞에서 협력 다짐한 한-일 '캠프 데이비드 맹세'

한미일 3국 정상은 18일 미국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에서 회의를 갖고 공동성명과 지침을 발표했다. 공동성명은 '캠프 데이비드 정신'으로, 지침은 '캠프 데이비드 원칙'으로 각각 이름 붙였다. 3국 간 협의하겠다는 약속을 거듭 확인하는 '협의 공약'도 채택했다. 3국 정상은 모두 합의 문건과 공동기자회견에서 '역사적'이라는 형용사를 많이 사용하며 3국 관계에 새 장(章)이 열렸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보를 공유하고, 메시지를 동조화하며, 대응조치를 조율키로 했다는 게 회의 결과의 요체이다. 그러나 과연 역사를 만들어낼지, 만든다면 어떤 역사를 만들지는 미지수다. 군사협력 앞세운 미·일 3국 정상이 채택한 문건의 내용은 공동기자회견 모두 발언을 통해 그 윤곽이 소개됐다. 다만 각국 정상이 강조한 우선..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8. 20. 11:32

Camp David 백악관 발표 문건(20030818)

AUGUST 18, 2023 FACT SHEET: The Trilateral Leaders’ Summit at Camp David President Biden welcomed Japanese Prime Minister Kishida and Republic of Korea (ROK) President Yoon to a historic trilateral summit at Camp David, the first-ever stand-alone summit of Leaders fro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ROK, and the first summit of foreign leaders at Camp David during the Biden-Harris Administrat..

자료/한반도 자료 2023. 8. 19. 09:50

역사적 장소? 오래전 빛 바랜 캠프 데이비드의 '허명'

분단의 당사자가 빠진 어떠한 회담도 역사가 될 수 없다 "미국 대통령이 캠프 데이비드에서 만나야 할 사람은 남한 대통령이 아니다. 북한 지도자다. 지난 30년 동안 미국의 대북정책이 실패한 까닭은 북한이 먼저 행동한 뒤에나 움직이겠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이제는 미국이 먼저 행동해 볼 필요가 있다. 공식 의제 없이 지도자끼리 허심탄회하게 만나기에 캠프 데이비드는 이상적이다. 서로 넥타이를 풀고 이야기를 건넬 수 있다. 북한이 거부하더라도 이러한 제안을 함으로써 미국이 마음을 열 준비가 돼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 미국 대통령 가족의 '사적 공간' 캠프 데이비드는 미국 대통령의 주말 별장이다. 백악관에서 자동차로 채 1시간이 걸리지 않는 메릴랜드주 캐톡틴 산 숲속에 있다. 국가 재산이되 대통령 가족의 사적..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8. 17. 16:28

바이든, 캠프 데이비드서 '한-일 준군사동맹' 설계

오는 18일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한·일 관계를 사실상의 '준 군사동맹' 관계로 규정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일 "미국은 정상회의에서 일본과 한국이 공격을 받는 경우 서로 간의 협의를 의무화할 것을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일 간 유사시 안보 협의 의무화를 공동성명에 담는다면 국제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은 아니지만, 미국 입회하에 '정치적 선언'을 하는 것으로 양국 정권교체 뒤에도 연속성을 갖게 된다. 미국이 이를 추진하는 것은 윤석열 정부의 대일 유화조치로 한·일 관계가 급진전한 계기에 양자 안보 협력으로 영속화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패트릭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의를 받고 "말할 게 더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8. 15. 20:32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211
다음
TISTORY
김진호의 세계읽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