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호의 세계읽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세계읽기
  • 한반도, 오늘
  • 분류 전체보기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 2024년 한반도 위기
      • 우크라이나 전쟁
      • 정전 70년
      • 방송영상+액자기사
      • 2024 미국 대선
    • 나눔의 국제정치학
    • 내고향, 서울...
    • 한반도, 오늘
    • 세계 읽기
      • 인사이드 월드
      • 글로발, 발로글
      • 좋은 미국, 나쁜 미국
    • 포퓰리즘 산책
    • 칼럼
      • 한반도 칼럼
      • 경향의 눈
      • 여적
      • 아침을 열며
      • 워싱턴리포트
      • 정동탑
      • 기자메모
      • 破邪顯正
    • 떨어진 반쪽
      • 방북기
      • 고향을 떠난 사람들
    • Interviewees
    • 몇가지 주제들
      • 연설문
    •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 자료
      • 한반도 자료
      • 일반자료

검색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제53차 한미안보협의회(SCM) 공동성명 20211202

    2023.11.15 by gino's

  • 제55차 한미 SCM 공동성명+국방비전+공동기자회견(전문)

    2023.11.14 by gino's

  • 아산-RAND 보고서 '한국 핵보장 강화방안' (231030)

    2023.11.13 by gino's

  • [R. 칼린+S. 헤커1] 미국 잊고 중-러 택한 북한, 희망은 남아 있나

    2023.11.12 by gino's

  • '통치권자 수호'해온 방첩사령관에 충암고 후배 앉힌 까닭은?

    2023.11.08 by gino's

  • 김포 통합? 왜 '서울'을 북한군 박격포 사거리에 두려하나

    2023.11.08 by gino's

  • 북-러 군사협력 위기감 높이면서 대러 외교 왜 손놓고 있나

    2023.11.08 by gino's

  • 진정 압록강 물이 그립다면... 유난히 전쟁-전투 기리는 윤석열정부

    2023.11.08 by gino's

제53차 한미안보협의회(SCM) 공동성명 20211202

1. 제53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가 2021년 12월 2일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서욱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합중국 국방부장관이 공동 주재하였으며, 양국의 국방 및 외교 분야 고위 관계관들이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 앞서 2021년 12월 1일 대한민국 합참의장 원인철 대장과 미합중국 합참의장 마크 밀리 대장이 제46차 한미군사위원회회의(MCM)를 주재하였다. 2. 양 장관은 2021년 5월 한미정상회담에서 확인된 민주적 규범, 인권, 그리고 법치가 지배하는 지역에 대한 양국 정상의 비전을 재확인하면서, 상호 신뢰와 자유,민주주의, 인권, 법치라는 공유된 가치들에 기반한 양국 간 파트너십이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는 점에 공감하였다. 양 장관은 SCM이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발..

자료/한반도 자료 2023. 11. 15. 11:39

제55차 한미 SCM 공동성명+국방비전+공동기자회견(전문)

**한미 국방비전(231113)Defense Vision of the U.S.-ROK AllianceNov. 13, 2023 | Seoul In 1953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ROK) signed the Mutual Defense Treaty pledging to promote peace, defend against external threats, and strengthen collective defense in the Pacific region. Seventy years later, the U.S.-ROK Alliance now stands as one of the world's premier alliances. Its presence is a st..

자료/한반도 자료 2023. 11. 14. 14:32

아산-RAND 보고서 '한국 핵보장 강화방안' (231030)

https://www.asaninst.org/wp-content/themes/twentythirteen/action/dl.php?id=90942 연구개요 아산정책연구원과 랜드(RAND) 연구소는 지난 1년간 “한국에 대한 핵보장 강화 방안(Options for Strengthening ROK Nuclear Assurance)”이라는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동 연구는 2021년 발표한 “북핵 위협,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Countering the Risks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의 후속연구이다. 지금까지 북핵 위협에 대한 주요 대응방안의 하나는 미국이 ‘핵우산(Nuclear Umbrella)’을 한국에 제공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되면서 미국의..

자료/한반도 자료 2023. 11. 13. 11:06

[R. 칼린+S. 헤커1] 미국 잊고 중-러 택한 북한, 희망은 남아 있나

방한 로버트 칼린-시그프리드 헤커의 제안1 로버트 칼린. 1974년부터 북한을 읽었다. 30여 차례 방북, 북한 측 파트너와 협상한 시간만 수백 시간이다. 처음엔 미 중앙정보국(CIA) 정보분석관으로, 1989년부터 2002년까지는 국무부 정보·분석국 동북아 팀장 자격으로 모든 북·미 회담에 관여했다. 수많은 정보보고서를 썼지만, 북한을 온전히 담을 수 없었다. ‘제임스 처치’라는 필명으로 을 비롯해 6권의 추리소설을 쓴 이유다. 아직도 북한을 읽고, 쓴다. 시그프리드 헤커. 1965년 과학도로 미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에 들어간 뒤 50년 가까이 ‘핵’을 끼고 살았다. ‘핵쟁이(nuclear guy)’ ‘기술쟁이(technique guy)’를 자처한다. 미국 핵무기 설계의 책임자이었지만 최근 30여 년 동..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1. 12. 21:34

'통치권자 수호'해온 방첩사령관에 충암고 후배 앉힌 까닭은?

국군방첩사령부령(令)은 특이하게 사령부의 목적(제1조)와 설치(제2조) 다음에 '기본원칙'을 명시한다. '직무'는 그다음에나 나온다. 왜 그래야 했을까. 기본원칙은 두 가지다. 우선 "직무를 수행할 때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 관련 법령 및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명토 박았다. 뜯어보면 지극히 당연한 말이다. '국민의 군대'라면 당연히 국민 전체를 섬겨야 하건만 그렇지 않아 왔기에 새삼 원칙 제1항으로 기술했을 게다. 제2항에서 해선 안 되는 행위로 규정한 4가지 금기 역시 불법적으로 해왔기에 굳이 적시했을 터.6일 국방부가 발표한 후반기 장성급 인사 발표에서 단연 주목되는 건 바로 방첩사령관 인사였다. 여인형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소장)이 중장 진급과 함께 방첩사령관에 임명됐다. 육사 48..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1. 8. 12:08

김포 통합? 왜 '서울'을 북한군 박격포 사거리에 두려하나

'서울이 공격받고 있다! (Seoul Under Attack!)' 9·11테러 당시 CNN 방송을 비롯한 각국 언론은 '미국이 공격받고 있다(America Under Attack)'는 머릿기사 제목을 뽑았다. 마찬가지로 한반도 군사적 충돌이 서울에 미친다면, '서울이 공격받고 있다'는 헤드라인이 나오게 된다. 서울·김포를 아우르겠다는 집권 여당의 총선용 아이디어가 구현된다면, 북한군은 박격포와 기관총만으로 이러한 헤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비행기 조종훈련에서부터 여객기 탈취까지 알카에다가 보였던 미증유의 발상도 필요 없다. 유효 사거리가 1100m(최대 사거리 2500m)인 박격포나 기관총도 남측을 공격할 수 있다. 김포반도가 어떤 곳인가. 직사각형 모양의 김포반도의 오른쪽 북단은 바로 남북의 접..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1. 8. 12:01

북-러 군사협력 위기감 높이면서 대러 외교 왜 손놓고 있나

첩보건, 정보건, 공개되는 순간 가치를 잃는다. 그럼에도 누군가 첩보와 정보를 잇달아 공개한다면 다시 물어야 한다. 왜 공개하는지, 공개해서 누가 이득을 얻는지를 말이다. 이를 위해 정보의 재료와 해석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1일 국가정보원이 국회 정보위에서 보고한 데 이어 2일 군 당국이 밝힌 내용을 톺아보는 이유다. 우선 한미일이 한목소리로 경계하고 있는 북·러 국방 협력에 집중해 본다. 마침 2일로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이 지난해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을 건넨다는 정보가 있다"고 밝힌 지 꼬박 1년이 됐다. 군·국정원의 잇단 '천기누설' 세계가 무정부 상태로 치달으면서 상식적으로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 많아졌다. 북·러 군사협력을 둘러싸고 대한민국이 벌이는 '외교 아닌 외교..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우크라이나 전쟁 2023. 11. 8. 11:56

진정 압록강 물이 그립다면... 유난히 전쟁-전투 기리는 윤석열정부

국군 6사단. 1948년 6월 14일에 창설된 육군 보병사단이다. 한국전쟁이 벌어지자, 그전까지 "개성에서 점심 먹고, 평양에서 저녁을 먹겠다"며 거들먹거렸던 군 지휘부(채병덕 육군참모총장)와 함께 국군이 궤멸당했지만 6사단은 예외였다. 대통령 이승만부터 일선 사단장까지 저마다 제 살겠다고 도망을 다니던 전쟁 초기, 6사단은 춘천 소양강(제7연대)과 홍천 말고개(제2연대) 일대에서 6일 동안 방어전을 펼쳐 인민군의 진출을 막았다. 유일하게 군대다운 군대 구실을 한, 국군의 귀감이다. 당시 인민군은 개성 방면 돌파 군과 춘천~홍천 축선 돌파 군이 서울에서 합류할 예정이었지만, 6사단의 고군분투로 계획이 틀어졌다. 그 결과 국군은 한강 이남에 방어선을 구축할 시간을 벌었다. 다른 모든 사단이 사실상 궤멸,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1. 8. 11:51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211
다음
TISTORY
김진호의 세계읽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