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호의 세계읽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세계읽기
  • 한반도, 오늘
  • 분류 전체보기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 2024년 한반도 위기
      • 우크라이나 전쟁
      • 정전 70년
      • 방송영상+액자기사
      • 2024 미국 대선
    • 나눔의 국제정치학
    • 내고향, 서울...
    • 한반도, 오늘
    • 세계 읽기
      • 인사이드 월드
      • 글로발, 발로글
      • 좋은 미국, 나쁜 미국
    • 포퓰리즘 산책
    • 칼럼
      • 한반도 칼럼
      • 경향의 눈
      • 여적
      • 아침을 열며
      • 워싱턴리포트
      • 정동탑
      • 기자메모
      • 破邪顯正
    • 떨어진 반쪽
      • 방북기
      • 고향을 떠난 사람들
    • Interviewees
    • 몇가지 주제들
      • 연설문
    •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 자료
      • 한반도 자료
      • 일반자료

검색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EU commission china trade report 190312

    2019.04.08 by gino's

  • 요미우리(190406, 서울발)&로이터통신(190329) 보도 볼턴의 노란봉투 내용

    2019.03.31 by gino's

  • 가자, 예루살렘으로! 이스라엘은 어떻게 포퓰리즘의 성지가 됐나

    2019.03.29 by gino's

  • 볼턴이 하노이에서 건넨 노란봉투는 과연 항복문서일까

    2019.03.15 by gino's

  • 190228-트럼프&리용호(최선희) 하노이 기자회견 [전문]

    2019.03.01 by gino's

  • 베트남, 김일성의 길 김정은의 길

    2019.03.01 by gino's

  • 북한의 미래, 베트남에서 온 편지

    2019.02.27 by gino's

  • 비건 대북정책특별대표 스탠퍼드대 연설

    2019.02.25 by gino's

EU commission china trade report 190312

https://ec.europa.eu/commission/sites/beta-political/files/communication-eu-china-a-strategic-outlook.pdf

자료/일반자료 2019. 4. 8. 11:07

요미우리(190406, 서울발)&로이터통신(190329) 보도 볼턴의 노란봉투 내용

요미우리 보도, 비핵화시 대가를 로드맵으로 명시 핵심인 비핵화 조항에 김정은 "일방 요구"얼굴붉혀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ㆍ미 정상회담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5개 항의 합의문 초안을 제시했다고 일본 요미우리 신문이 6일 서울발로 보도했다. 한·미·일 협상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에서 요미우리는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경제지원 등 북한이 비핵화에 응할 경우에 제공할 대가를 로드맵 형식으로 명시한 내용"이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합의문 초안은 ①비핵화 조항②한국전쟁 종전선언③연락사무소 설치④대북경제지원⑤미군 유골 발굴 작업 개시로 이뤄졌다. ①비핵화에 대한 대가가 ②~④조항이다. 이중 ②~⑤는 정상회담 직전까지 이어진 실무급 협의에서 대강 합의를 이뤘지만, ①..

자료/한반도 자료 2019. 3. 31. 12:39

가자, 예루살렘으로! 이스라엘은 어떻게 포퓰리즘의 성지가 됐나

“가자, 예루살렘으로!” 예루살렘이 새로운 성지로 떠오르고 있다. 기독교 순례자들이 찾는다는 말이 아니다. 전 세계 내로라하는 극우 포퓰리즘 지도자들의 성지가 되고 있다. 지난 2월19일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등 중부유럽 3개국 정상들이 함께 예루살렘을 찾았다.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와 안드레이 바비스 체코 총리, 피터 펠레그리니 슬로바키아 총리. 하나같이 반이민, 민족주의를 내세워 대권을 거머쥔 포퓰리스트들이다. 이들은 각각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예루살렘에 ‘외교 사무실’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가 막판에 방문을 취소해 당초 중부유럽 4개국의 연합기구인 비제그라드 그룹(V4) 정상회담을 가지려는 계획은 축소됐다. 성사됐으면 1991년 창설..

포퓰리즘 산책 2019. 3. 29. 11:24

볼턴이 하노이에서 건넨 노란봉투는 과연 항복문서일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일 베트남 하노이의 대통령궁에서 열린 공식 환영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뒤 이틀간 베트남을 친선공식방문했다. 하노이/EPA연합뉴스 길이 보이지 않는다. 하노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지 보름이 지났다. 어느 정도 먼지가 가라앉을 시간이 됐건만 이 경우엔 아닌 것 같다. 시야가 뿌옇다. ‘과연 하노이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에 쏠렸던 관심의 초점은 ‘과연 평양에서 무슨 일이 진행되고 있을까’로 이동했다. 실체가 보이지 않으니 ‘이미지’가 크게 보이는 것일까. 지난주부터 언론은 평안남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서해 미사일 발사장)과 평양 산음동 미사일 ..

한반도, 오늘 2019. 3. 15. 14:19

190228-트럼프&리용호(최선희) 하노이 기자회견 [전문]

JW Marriott Hotel Hanoi, Hanoi, Vietnam, 2:15 P.M. ICT(인도차이나 시간, GMT+7시간) ◇기자회견 모두발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베트남 주석, 총리님께 감사드린다. 하노이라는 아주 훌륭한 도시에 와 있다. 지난 25년 간 베트남에서 많은 경제 발전을 이룬 점에 대해 치하의 말씀과 축하의 말씀을 드린다. 베트남 국민 모두에게 따뜻하게 맞아줘서 감사드린다. 파키스탄과 인도의 무력 충돌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또, 이 충돌이 오래도록 지속돼 왔는데 이것을 멈출 수 있을 것 같다. 둘 간의 증오가 쌓여 있다. 우리가 중간에서 중재를 해서 평화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쪽으로 우리가 관리할 수 있을 것 같..

자료/한반도 자료 2019. 3. 1. 17:19

베트남, 김일성의 길 김정은의 길

1958년 11월 말, 중국 베이징역에서 동아시아 분단국의 지도자가 열차에 올랐다. 김일성 주석의 첫 베트남 방문길이었다. 열차 편으로 베이징에서 우한을 지나 광저우에 도착한 뒤 저우언라이의 전용기로 하노이 땅을 처음 밟았다. 비행기로 중국 항저우, 상하이 등을 거쳐 귀국했다. ‘죽의 장막’이 두껍던 시절이다. 그다지 세계의 주목을 받지 못했을 게다. 반면에 지난달 23일 오후 늦게 평양역을 출발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전용열차는 시종일관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김 위원장의 이번 베트남 방문길은 김 주석의 첫번째 여정과 사뭇 달랐다. 김 주석이 중국 지도부를 만나기 위해 경유했던 베이징과 광저우 등 대도시를 우회, 최단거리를 택했다. 평양~단둥~선양~톈진~스자좡~우한~창사~헝양~구이린~류저우~난닝 코스였다..

한반도, 오늘 2019. 3. 1. 16:08

북한의 미래, 베트남에서 온 편지

베트남에서 온 편지 지난 1월30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기념품점에 베트남 국기인 일성홍기 티셔츠와 함께 마르크스와 레닌의 초상화가 담긴 원형 사진이 걸려 있다. 2월들어 하노이가 북·미 정상횓마 장소로 발표된 뒤 북한 인공기와 미국 성조기가 기념품점마다 새로 들어섰다.“베트남을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정한 것은 북한이 이미 하나의 승리를 거뒀음을 의미한다. 미국으로 하여금 북한에 우호적인 땅에서 회담을 여는데 동의를 받아냈기 때문이다. 미국이 희망했던 다낭이 아닌 하노이를 선택한 것 역시 북한에게는 또다른 승리다. 물론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한다면 베트남은 개발모델이라는 점에서 미국에도 나쁜 선택이 아니다. 지역과 국제무대에서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절실한 베트남에도 좋은 선택이다. 결코 중단되지 않을 중국..

한반도, 오늘 2019. 2. 27. 20:10

비건 대북정책특별대표 스탠퍼드대 연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스탠퍼드대 연설 2019.1.31 https://fsi-live.s3.us-west-1.amazonaws.com/s3fs-public/transcript_biegun_discussion_on_the_dprk_20190131.pdf Remarks on the DPRKStephen Biegun,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Stanford, CA, United StatesJanuary 31, 2019 MR BIEGUN: Good afternoon. Thank you, Dr. Shin, and thank you to Stanford University and to the Shorenstein Asia-Pacific Res..

자료/한반도 자료 2019. 2. 25. 15:20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1
다음
TISTORY
김진호의 세계읽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