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호의 세계읽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세계읽기
  • 한반도, 오늘
  • 분류 전체보기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 2024년 한반도 위기
      • 우크라이나 전쟁
      • 정전 70년
      • 방송영상+액자기사
      • 2024 미국 대선
    • 나눔의 국제정치학
    • 내고향, 서울...
    • 한반도, 오늘
    • 세계 읽기
      • 인사이드 월드
      • 글로발, 발로글
      • 좋은 미국, 나쁜 미국
    • 포퓰리즘 산책
    • 칼럼
      • 한반도 칼럼
      • 경향의 눈
      • 여적
      • 아침을 열며
      • 워싱턴리포트
      • 정동탑
      • 기자메모
      • 破邪顯正
    • 떨어진 반쪽
      • 방북기
      • 고향을 떠난 사람들
    • Interviewees
    • 몇가지 주제들
      • 연설문
    •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 자료
      • 한반도 자료
      • 일반자료

검색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들끓는 테헤란 … 이란 "한국과 외교관계 재고"

    2023.01.21 by gino's

  • 기시다 '세계 전략'에 한국은 없었다

    2023.01.18 by gino's

  • 바이든과 기시다는 왜 '역사적 순간'을 말했나

    2023.01.18 by gino's

  • 항공모함서 기업을 보라? 시대 착각한 '수출입국론'

    2023.01.18 by gino's

  • 일단 내지르고 보는 대통령의 안보관, 왜 문제인가

    2023.01.18 by gino's

  • 백악관 미일 정상회담으로 새해 연 기시다

    2023.01.18 by gino's

  • 기시다의 '군사대국화' 적극 지지한 미국, 2+2회의

    2023.01.18 by gino's

  • 우크라이나, 시진핑의 전쟁 ①

    2023.01.18 by gino's

들끓는 테헤란 … 이란 "한국과 외교관계 재고"

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의 적은 이란" 발언이 결국 심각한 외교적 갈등으로 비화하고 있다. 이란 정부는 지난 18일 한국의 즉각적인 해명과 적절한 조치가 없다면 양국 관계를 재고하겠다고 경고했다. 현지 언론까지 한국 대통령을 '개입주의자'라고 지칭하며 반발하고 있다. 대통령의 한마디가 그렇지 않아도 한국이 70억 달러에 달하는 원유 수입대금을 지급하지 않아 불편했던 양국 관계에 또 다른 걸림돌이 됐다. 무엇보다 이란 정부의 반응이 갈수록 강도를 더하고 있다. 레자 나자피 이란 외교부 법무·국제기구 담당 차관은 18일 윤강현 주이란대사를 초치해 대통령의 발언에 강한 항의를 표했다. 나자피 차관은 "한국 대통령의 발언은 (이란과 UAE의) 우호 관계는 물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참견에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 21. 00:26

기시다 '세계 전략'에 한국은 없었다

'일본 군사강국화' 기시다 안중에 한국은 없었다 < 외교안보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mindlenews.com) '일본 군사강국화' 기시다 안중에 한국은 없었다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나의 결정은 요시다 시게루와 기시 노부스케,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잇는 중요한 역사적 이정표의 하나이다."지난 13일 백악관 미·일 정상회담에서 군사강국화를 공식 선언한 기시다 후미오 일 www.mindlenews.com "나의 결정은 요시다 시게루와 기시 노부스케,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잇는 중요한 역사적 이정표의 하나이다." 지난 13일 백악관 미·일 정상회담에서 군사강국화를 공식 선언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말이다. 기시다 총리는 정상회담 뒤 같은 날 워싱턴의 존스홉킨스대 국..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 18. 18:20

바이든과 기시다는 왜 '역사적 순간'을 말했나

미·일 정상은 왜 '역사적 순간'이라고 했나 < 외교안보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mindlenews.com) 미·일 정상은 왜 '역사적 순간'이라고 했나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푸른 눈의 쇼군(將軍)'이 파안대소했다. 전후 동아시아 국제정세가 지난 13일 중대한 변곡점을 지났다. 올해 첫 미·일 정상회담의 결과는 그만큼 엄중하게 다가온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www.mindlenews.com '푸른 눈의 쇼군(將軍)'이 파안대소했다. 전후 동아시아 국제정세가 지난 13일 중대한 변곡점을 지났다. 올해 첫 미·일 정상회담의 결과는 그만큼 엄중하게 다가온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찾아가 일본의 군사강국화 방안에 최종 '결재'를 받았다..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 18. 18:16

항공모함서 기업을 보라? 시대 착각한 '수출입국론'

항공모함서 기업을 보라? 시대착오적 '수출입국론' < 정치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mindlenews.com) 항공모함서 기업을 보라? 시대착오적 '수출입국론'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미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과 함재기들이 대양을 가로지르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거기서 수만 개의 기업을 봐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1일 외교·국방부·대통령실 합동 새해 업무보고 www.mindlenews.com "미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과 함재기들이 대양을 가로지르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거기서 수만 개의 기업을 봐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1일 외교·국방부·대통령실 합동 새해 업무보고 마무리 발언에서 던진 화두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각국이 전환을 고민하는 사이 대..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 18. 18:10

일단 내지르고 보는 대통령의 안보관, 왜 문제인가

말부터 앞세우는 대통령의 '호언 안보' 긴장 높인다 < 외교안보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mindlenews.com)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 18. 18:06

백악관 미일 정상회담으로 새해 연 기시다

'안보 외교' 광폭 행보로 새해 여는 기시다 내각 < 외교안보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mindlenews.com) '안보 외교' 광폭 행보로 새해 여는 기시다 내각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기시다 후미오 일본 내각이 신년 초부터 광범위한 안보 외교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일 안보 협의를 통해 일본이 동아시아 안보의 '주춧돌'임을 확인하고, 영국과 상호파병 협정을 체결하는 등 www.mindlenews.com 기시다 후미오 일본 내각이 신년 초부터 광범위한 안보 외교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일 안보 협의를 통해 일본이 동아시아 안보의 '주춧돌'임을 확인하고, 영국과 상호파병 협정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포석을 놓고 있다. 13일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단원의 매듭을 짓는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 18. 18:01

기시다의 '군사대국화' 적극 지지한 미국, 2+2회의

미·일 동맹, "한국은 호주 다음의 3자 군사협력 대상" < 외교안보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mindlenews.com) 미·일 동맹, "한국은 호주 다음의 3자 군사협력 대상"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미국은 일본이 지난달 국가안보전략에서 결정한 '적기지 반격능력 확보' 및 국방예산 증액 방침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미·일 외교·국방장관(2+2)은 11일 워싱턴에서 발표한 회의 결과에 www.mindlenews.com 미국은 일본이 지난달 국가안보전략에서 결정한 '적기지 반격능력 확보' 및 국방예산 증액 방침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미·일 외교·국방장관(2+2)은 11일 워싱턴에서 발표한 회의 결과에서다. 2+2의 공식 명칭은 미·일 안보협의위원회(SCC)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2023. 1. 18. 17:52

우크라이나, 시진핑의 전쟁 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잇따른 경고가 나오던 지난 2월 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베이징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양국 관계에는 한계가 없다(no limits)"고 다짐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침공일에 관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보도됐다.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에게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폐막하는 같은달 20일까지 침공을 늦춰 달라고 당부했다(뉴욕타임스).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는 침공 이틀 전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보도지침이 게재됐다. "친 서방 시각과 러시아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을 게재하지 말라"는 내용이었다. 개전 20일 전 베이징, "러·중 협력엔 끝이 없다"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뒤 미국이 주도한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우크라이나 전쟁 2023. 1. 18. 17:35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211
다음
TISTORY
김진호의 세계읽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